C언어란, 인간이 컴퓨터에게 명령을 지시하려고 만든 수단 하지만 C언어 자체를 컴퓨터가 알아 들을수는 없다. 사람 -> ? ->컴퓨터 즉, 사람과 컴퓨터 사이에 C언어를 번역? 전달해주는 매개가 필요하다. 컴파일러 : 사람이 프로그래밍 언어 작성한 코드를 컴퓨터가 이해할수 있는 기계어로 변환해주는 매개 기계어 : 컴퓨터의 언어인 2진수 C언어를 작성하고 컴퓨터가 알아들을수 있도록 기계어로 변환되는 과정을 설명하겠다. 1. 사람이 프로그램 작성 2. 컴파일 3. 링크 4.로딩과 실행 아래는 C언어 열혈본색 연습문제 정답이다. chapter 2 공부에 참고되었음 한다. 1.번 (Printf()를 이용한 별찍기) #include int main(){ printf(" *\n"); printf(" ***\n");..
- c언어 변수와 자료형 # 1 변수란(값을 담을 그릇) 값을 저장하기 위한 기억 장소 변수를 사용하기 전에 반드시 선언 선언 형식 - int a; + 상수 - 변하지 않는 수로 변수와 대비되는 개념 자료형이란(그릇의 모양) 값의 자료 형태 컴퓨터가 변수 자료를 구분할수 있게 함 int a ; a = 10; 즉 a라는 정수 그릇에 10을 담는다. 변수 선언 자료형 이름을 먼저 선언하고 변수명(내맘대로) 선언 int num; //int 형 변수num 선언 char ch; // char 형 변수ch 선언 float x; // float 형 변수x 선언 double y; // double 형 변수y 선언 변수 값 저장 선언된 변수에 값을 저장하기 위해서는 대입연산자 '=' 사용 (우리가 수학에서 사용하는 의미..
c언어 프로그래밍 출력 기초에 대해 이야기 해볼께요. 우선 기초인 만큼 화면에 내용을 출력하기를 다룹니다. - printf() 함수 괄호 안에 큰 따옴표의 시작과 끝 사이에 있는 내용 출력합니다. * 큰 따옴표 내부 내용만 출력함. printf( "Hello, world!!" ); -> Hello, world!! printf( "Hello" ); -> Hello printf( "jipark" ); -> jipark printf( " jipark" ); -> jipark 공백부분이 함수printf()문 안에 있다하더라도 "" 안과 밖을 구분하고 안에 공백만 인식된다는것!! c언어는 절차지향 또는 순차지향 언어입니다!! 그럼다면 printf 함수를 여러 번 작성한다면 어떠한 순서로 출력 결과를 얻을 수 있을..
컴퓨터의 언어와 사람의 언어 차이 이해하기 우리가 c언어를 배우려고 하는 이유는 컴퓨터와 대화하기 위함이라고 쉽게 생각해보자. 하지만 우리가 하는 말,언어는 컴퓨터가 알아들을수 없다. 알고 있겠지만 컴퓨터는 정보를 0과 1로 구성하기 때문이다. 2진수사용 비트와 바이트의 개념을 알아야 하는데 • (bit)비트: 한 자리 이진수로 표현되는 정보 단위 • (byte)바이트: 8개의 비트를 묶은 정보 단위 ( 1 바이트 = 8 비트) 1 바이트는 2의 8승으로 256 개의 표현이 가능하다. 컴퓨터와 대화하기위해 C 프로그램이 만들어 지는 과정알아보자. 소스 파일 : 컴퓨터가 수행해야할 일을 명세한 텍스트 파일 즉, 우리가 작성할 파일 오브젝트 파일 : 소스 파일을 기계어로 번역된 것 컴파일러가 소스파일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