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데이터베이스에 대하여 논할 때 데이터베이스 스키마와 데이터베이스 인스턴스를 구분해야 한다.
스키마(schema)란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설계에의해 생성된 데이터베이스 구조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데이터의 조건을 기술한다.
인스턴스(instance)는 주어진 시점에서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데이터의 스냅 샷(snapshot)을 말한다.
논리적 설계는 데이터 모델에 대해 논할 때 자세히 다룰 예정이다. 지금은 간단하게 컴퓨터가 알수 있는 데이터라고 생각하자.
스키마는 데이터의 구조적 특성이며 사용자의 관점에 따라 3계층으로 이루어진다.
이유는 사용자의 요구를 다시 DBMS가 알수있는 형태로 변환하기 위함이다.
3계층은 외부스키마-개념스키마-내부스키마다.
<외부스키마>
외부스키마는 사용자가 자신이 필요로 하는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구조를 정의한것이다.
외부스키마는 서브스키마 또는 사용자 뷰라고도 한다.
하나의 디비에는 여러개의 외부 스키마가 존재할수 있으며 하나의 외부스키마를 여러 사용자가 공용할수도 있다.
질의어를 이용하여 쉽게 사용할수도 있다.
<개념스키마>
전체적인뷰라고도 한다..
개념스키마는 디비의 전체적인 논리적 구조로 사용자가 필요하는 데이터의 종합적인 조직으로 디비에 하나만 존재한다.
개념스키마는 개체간의 제약 조건을 나타내고 디비의 접근 권한,보안,데이터무결성을 정의한다.
데이터베이스 관리자에 의해 구성된다.
<내부스키마>
물리적 저장장치의 입장에서 본 데이터 베이스구조로 물리적인 저장장치와 밀접한 계층이다.
내부스키마는 실제로 저장될 레코드의 구조를 정의하고 데이터 표현, 데이터 순서등을 나타낸다.
인스턴스는 예를보고 쉽게 이해하면 된다.
교수번호 (char) |
나이(int) |
주소(char) |
학과(char) |
cs102 |
50 |
서울시 |
컴퓨터공학과 |
데이터개체를 구성하고 있는 속성들에 대한 값을 나타낸다. 위의 정의와 같이 데이터의 스냅샷이라고 이해하고 넘어간다.
감사합니다.
'데이터베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 베이스] - 키, 무결성 제약 조건 (0) | 2018.07.12 |
---|---|
[데이터베이스] - 관계 데이터 모델 (0) | 2018.07.12 |
데이터베이스 설계 & E-R모델 (0) | 2018.07.12 |
데이터 베이스 개념 (0) | 2018.07.10 |